Surprise Me!

[과학 한스푼] 폭행·방화·기절...스스로 찾아내는 CCTV! / YTN

2023-02-11 1 Dailymotion

도심 곳곳에는 수많은 CCTV가 설치돼 있지만, 이를 사람이 일일이 지켜보면서 위험한 상황을 잡아내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사람이 직접 확인하지 않아도 폭행이나 방화 등의 범죄를 스스로 잡아내는 인공지능 CCTV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소라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한 남성이 맞은 편에서 걸어오던 행인의 어깨를 세게 치자 놀란 행인이 뒤를 돌아봅니다. <br /> <br />남성은 그 뒤로 최소 5명의 어깨를 친 뒤 결국, CCTV 사각지대에서 한 여성을 폭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폭행에 앞서 사람들에 부딪히는 모습이 수차례 CCTV에 포착됐지만, 이런 상황을 실시간으로 인지해 제지하는 건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입니다. <br /> <br />CCTV 관제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서울시의 CCTV 관제인력 1명이 담당하는 CCTV 수는 평균 958개로 행정안전부 권고 기준의 20배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국내 연구진이 딥러닝 기법을 적용해 폭행·방화·테러 등 다양한 범죄를 높은 정확도로 인식하는 CCTV 기술을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CCTV 속 남성이 다른 남성에게 부딪힘과 동시에 빨간색으로 싸움이라는 단어가 뜹니다. <br /> <br />사람이 불을 붙이려 하자 방화라고 뜨고, 들고온 가방이나 기름통을 내려놓고 가자 유기라고 뜹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 단순히 배회하는 사람과 침입하는 사람을 구분하고, 사람이 쓰러지거나, 사람이 많이 몰려 위험해지는 상황도 인식합니다. <br /> <br />여러 가지 형태의 위험 상황을 종류별로 수천 건씩 딥러닝 방식으로 학습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방화의 경우는 불이 난 뒤의 상황을 인식했던 기존 기술과 달리 불 지르는 사람의 자세를 인식할 수 있게 해서 화재 초동 진압까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도형 /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(UST) ETRI 스쿨 지도교수 : 이번 기술을 CCTV에 올리는 것, 그러니까 스마트 카메라가 되는 방법이 하나 있고요.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서버에 모이고 서버에서 행동 인식을 하는 방법. 두 가지가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박사과정생 두 명이 함께 개발한 이 기술은 국제 기준 성능평가에서 정확도 94.66%로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인증기관도 당장 상용화 가능한 수준이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구팀은 인공지능이 위험하다고 판별한 장면에 대해서만 사람이 개입하는 방식으로 활용한다면 관제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소라 (csr73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21203044233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